본문 바로가기

알면 쓸모있는 부동산 지식/지역분석

지역분석 _ 서울 용산구(재개발, 재건축, 모아타운, 생활권 등)

반응형

 

 

 

 

 

안녕하세요:) 알쓸부지 입니다.

이번 연도 (2025) 목표로 서울권 구 단위 지역분석 손품을 목표로 잡았는데요, 4번째로 용산구를 해보겠습니다.

 

 

 

 

위치 및 기본현황

 

 

 

용산구는 서울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경제 및 교통 문화의 중심지로서 중산층이 다수 거주하고 있는 지역입니다.

 

또한 남쪽으로 한강, 북쪽으로 남산을 경계로 6개 자치구와 접하고 있으며 한강을 잇는 대교들 중 6개의 한강대교와 경부철도가 용산을 지나고 있어 서울 도심을 잇는 관문이며 교통의 요충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용산구의 행정 구역은 16 행정동 및 36개 법정동이며, 면적은 21.87km2입니다.

 

 

 

인구는 2025년 02월 현재를 기준으로 203,550명이며 이 중 남 97,264명, 여 106,286명으로 여자가 더 많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2020년 이후로 용산구 일대(특히 한남 뉴타운)에 대규모 재개발이 활성화되며 재개발 구역에서 빠져나가는 인구가 많습니다.

 

 

 

대표사진 삭제

AI 활용 설정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평균적으로 1세대당 인구 2.09명이며 하루 1세대당 0.68대의 차량을 소유하고 있으며 인구밀도는 11,209/km2입니다.

 

 

교통

 

 

서울역과 용산역에서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를 탈 수 있으며 대체로 경부선, 경전선 계통의 열차는 서울역에서

호남선, 장항선, 전라선 계통의 열차는 용산역에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강원도로 가는 열차는 용산역의 ITX-청춘이 있으나 춘천 이외의 지역으로 가려면 청량리역에서 환승해야 합니다.

 

 

 

 

또한 2025년 3월 1일부터 경기도 파주시 운정 중앙역과 경기도 화성시 동탄역을 이을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노선인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GTX-A 노선 이 운행되고 있어 운정 중앙부터 서울역까지 20분 이면 갈 수 있으며 서울 북부지역 교통 접근성이 향상되었습니다.

 

 

https://blog.naver.com/mltmkr/223468549134
 

수도권 북부지역 출·퇴근 30분 실현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 대도시권 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강희업, 이하 대광위)는 6월 4일 “수도권 북부...

blog.naver.com

 

 

 

 

 

학군

 

 

용산구에 중학교는 총 9곳 이 있는데 진학률순 기준으로 용강중학교 > 한강중학교 > 선린중학교 > 오산중학교 > 용산중학교 > 신광여자중학교 > 배문중학교 > 성심여자중학교 > 보성여자중학교 순으로 진학률 이 높습니다.

 

 

 

 

용산구에 고등학교는 총 7곳 이 있으며 '대학교 진학률' 기준으로 보았을 때 오산고등학교 > 배문고등학교 > 보성여자고등학교 > 중경고등학교 > 성심여자고등학교 > 신광여자고등학교 > 용산고등학교 순으로 진학률 이 높습니다.

 

 

 

용산구에 이렇다 할 특별한 학원 가는 형성되지 않았습니다. (지인에게 물어보니 근처 대치동이나 목동 등 을 이용한다고 합니다.)

 

 

생활권/상권

 

 

 

용산구의 생활권은 '한남 지역생활권' , '이촌·한강 지역생활권', '청파·원효 생활권', '후암·용산 생활권'으로 총 4곳으로 생활권이 나누어져 있습니다.

 

 

 

 

한남 지역 생활권의 면적은 429ha이며 인구는 50,294명입니다. 한남 지역생활권에는 다세대, 다가구, 고급 주택 등이 밀집되어 있으며 대규모 호텔 및 특화거리, 남산공원, 용산공원, 매봉산공원 등 이 있어 생활환경도 우수하며 한남재정비 촉진 사업 이 진행 중이라 향후 기대되는 곳 중 한 곳입니다.

 

 

 

 

 

이촌·한남 지역생활권의 면적은 978ha이며 인구는 69,478명입니다. 또한 한강뷰가 보이는 공동주택 단지 중심의 주거지가 밀집되어 있으며 앞으로 대규모 재건축 단지들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또한 용산공원이나 노들섬 등 공원 접근성이 좋아 생활환경 도 우수합니다.

 

 

 

 

 

청파·원효 지역 생활권 은 서울역 역세권 후면부에 구름 지형으로 노후한 주거지가 밀집되어 있고 지형적으로도 좋아 보이지 않으나,

효창공원, 숙명여대 가 위치하고 있어 이점으로 작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효창 4,5,6 주택 재개발, 원효로 3가 주택재건축 등 다수의 정비 사업이 진행 중에 있기에 향후 저층/노후/1~2인 가구 등 청파·원효 지역 생활권의 주거지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주거환경 개선이 실현되고 있는 곳입니다.

 

 

 

 

 

 

후암·용산 지역 생활권은 다세대, 다가구 중심의 주거 밀집 지역이며 인구는 감소 추세에 노인 인구 비율이 높은 편입니다.

또한 남산타워, 남산공원, 용산공원, 경리단길 등 공원 및 특화거리가 많으며 서울역 일대 후암동 특별계획 구역으로 주거개선 추진 중에 있으며 해방촌 도시재생사업으로 도시재생 사업 진행 중에 있습니다.

 

 

 

 

 

 

용산구의 상권 은 여러 곳에 다 분포되어 있으나 대표적인 용산구의 상권은 역시, 한강진 역 근처의 이태원(한남동)에 상권이 1568개로 가장 많습니다.

 

이곳에는 패션 브랜드 꼼데 가르송 플래그십 스토어도 있으며 SPC그룹의 베이커리 카페인 '패션 파이브'도 있고 이태원역과 한강진 역 사이의 길은 일명 '꼼다 길'로 불리는 등 제2의 가로수길로 주목받으며 갤러리, 카페 등이 많이 있습니다. (또한 오징어 게임 2에서 198번 참가자 장도영이 딱지치기를 했었던 장소이기도 합니다)

 

 

 

직장인 연봉

 

 

 

용산구 직장인 연봉은 4천만 원 ~ 6천만 원으로 평균 5천 정도로 고소득자가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중 용산구에서 한강로 3가 가 6,530만 원으로 가장 연봉이 높습니다.

 

 

 

 

 

 

한강로 3가의 경우 (주) 엘지유플러스 가 평균 연봉 9.451만 원으로 가장 높은 연봉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 에이치 디시 현대산업개발, (주) 탑 비즈 씨엔씨 순으로 높으며 한강로 2가에는 (주) 엘에스 1억 2,36만 원 > (주) E1 1억 845만 원 > (주) 예스코 홀딩스 1억 574만 원 순으로 1억 이 넘는 회사 가 위치하고 있는 곳입니다.

 

 

 

 

대장 아파트

 

 

 

 

 

용산구 하면 '한남동' 이 가장 먼저 떠오르는데요, 대장 아파트 또한 한남동에 위치한 '나인 원한 남' 이 평당가 15,280만 원으로 1위를 차지하였으며 최근 용산구 이촌동 재건축 대장으로 꼽히는 '한강맨션' 이 평당가 12,487만 원으로 용산구 시세 대장 아파트 2위를 차지하였습니다.

 

또한 연예인과 유명 인사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고급 아파트로 손꼽히는 '한남 더 힐' 이 평당가 11,932만 원으로 시세 대장 아파트 3위를 차지하였습니다.

 

 

 

 

 

모아타운

 

원효로 4가 71번지 일대

 

 

 

서울 용산구 원효로 4가 71번지 일대가 모아 타운 통합심의를 통과하였습니다.

원효로 4가 71번지 일대는 면적이 2만 6,192㎡로 앞으로 모아 주택 637세대(임대 125세대 포함) 이 공급될 예정입니다.

 

 

 

 

원효로 4가 71번지 구역은 성심여자 중, 고등학교 앞과 저층 주거 밀집지 가 근처에 있는 구역이며 노후 건축물 비율이 74%에 달하며 반지하 주택 비율도 24%에 이르는 저층 주거 밀집 지역입니다.

 

또한 도로도 협소하고 주차공간도 부족한 구역이라 주거환경이 열악한 상황입니다.

 

이에 지난 2022년 모아 타운 대상지로 선정된 이후 주민공람 절차, 전문가 사전자문을 통하여 모아 타운에 상정되었으며 주도로 인 효창원로 건축 한계선을 설정 뒤 보행공간을 조성하고 기존 교통 섬은 광장으로 조성하는 등의 보행 환경을 개선하기로 하였습니다.

 

 

 

 

 

또한 용산구는 서계동 116-0 일대의 가로주택정비 관리 지역도 있습니다.

 

 

 

면적은 11,490 ㎡이며

조합설립 등인가 일 : 2023 - 11- 16

25. 1월 기준 '조합설립 인가' 단계입니다.

 

 

 

 

재개발

 

 

현재 용산구의 재개발 은 '효창 제4구역' , '효창 제5구역', '효창 제6구역', '청파 제1구역' 이 있습니다.

 

 

 

1. 효창 제4구역

 

정비구역 위치 : 서울시 용산구 효창동 117-1번지 외 152필지

정비구역 면적 : 9,999.80

최종 관리처분 계획 변경 인가 일 : 2019.02.20 (최초 관리처분계획 인가 2014.02.11)

준공 인가일 : 2018.09.21

 

 

 

 

2. 효창 제5구역

 

정비구역 위치 : 서울시 용산구 효창동 13 - 2번지 일대

정비구역 면적 : 22,439.0

관리처분계획 인가 : 2015.06.12(서울특별시 용산구 고시 제2015-73호)

준공 인가일 : 2019.04.29

 

 

 

 

3. 효창 제6구역

 

정비구역 위치 :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 3-250번지 일대

정비구역 면적 : 18,398.30㎡

관리처분계획 인가고시 일 : 2017.12.15

준공 인가일 : 2023.03.29

 

 

 

 

4. 청파 제1구역

 

정비구역 위치 : 서울시 용산구 청파동 2가 11-1번지 일대

정비구역 면적 : 32,390.4

 

청파 제1구역은 지하철 4호선과 숙대 입구역과 가깝고 학교가 밀집해 있지만 좁은 도로와 노후한 주거 환경 등으로 인해 오랫동안 낙후지역으로 인식되어 온 곳입니다.

 

 

이번 재개발로 인해 7개 동, 총 공공 주택 117가구를 포함한 총 696가구가 들어서며 지하공영주차장(133대)와 주민 휴식공간도 조성되며 1~2인 가구 수요를 반영해 전체 가구 수의 60%는 60㎡ 이하 소형 주택으로 짓게 될 예정입니다.

 

 

 

재건축

 

 

한강로 2·3가, 한남 뉴타운, 이촌동, 서빙고동 등에서 뉴타운과 재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용산미군기지가 평택으로 옮겨지면서 용산 부지는 2027년까지 국가공원으로 조성될 예정이며 문재인 대통령은 용산에서 열린 2018년 광복절 기념식에서 "이제 용산은 미국 뉴욕의 센트럴파크와 같은 생태자연공원으로 조성될 것"이라며 "2005년 선포된 국가공원 조성계획을 이제야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게 됐다"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총정리

 

개인적인 견해로 용산구는 고소득자가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한남동 고급 아파트에 유명 인사 들도 많이 거주하는 곳이며 입지적으로 서울의 중심, 서울역, 용산역 등 각 지역으로 뻗어나갈 수 있는 교통 등의 장점이 있지만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처럼 학군, 직장, 교통, 환경 면에서 다 월등 한 세 곳에 비해 학군(학원가, 학교), 환경(서울역 후면, 저소득층 밀집 지역, 해방촌 등) 면에서 약간 뒤처져 있기에 학군과 환경 이 개선된다면 강남처럼 한국의 대표적인 구 가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드는 곳입니다.

 

이상 '용산구' 지역분석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